Daum3 DAUM에서 '텃밭일기'로 검색하면... 누가 어떤 키워드를 가지고 블로그에 접속하는지 궁금해서 통계정보를 보니 '텃밭일기'라는 키워드로 DAUM에서 많은 유입이 있었다. 텃밭을 갖고 싶은 사람들이 제법 많은 모양이다. ㅎㅎㅎ 그래서 DAUM의 검색창에 '텃밭일기'를 넣고 검색해 보았다. 그랬더니 블로그 섹션에서는 내가 올린 텃밭일기가 상위에 검색된다. 그동안 나름대로 꾸준히 텃밭일기를 써 온 것이 검색결과에 반영된 것이다. 올해는 텃밭 농사에 대해서 그다지 경험이 없으니 일상적인 내용을 쓰더라도 내년부터는 올해 경험을 바탕으로 농사 짓는 법에 대해서 써 볼까??? 물론 내년에도 텃밭을 할 수 있으면 ^^; 2008. 6. 5. DAUM도 이젠 정치를 할 줄 아는군요. ㅎㅎ 다음의 메인 화면입니다. "미국 쇠고기 공포? 알고보면 안전합니다."라는 뉴스가 메인에 떠 있습니다. 어라~~ 설마!!! 하는 심점으로 클릭을 해 보았습니다. 블로그 뉴스 메인에도 "미국 쇠고기 공포? 알고보면 아니랍니다."라는 것이 버젓이 Top으로 떠 있습니다. 클릭을 해 보았습니다. 허거걱~~ 청와대에서 운영하는 블로그였습니다. 내용이야 뻔하게 현재 인터넷에서 돌고있는 이야기에 대해서 해명을 하고 있습니다. 뭐 이런 표현을 써 가며 어쨋든 재미있게 풀어나가고자 하는 노력이 눈물겹습니다. DAUM의 메인화면에 올라가는 블로그나 블로그 뉴스 Top에 올라가는 블로그는 DAUM에서 일일히 읽어보고 제목도 살짝 손질해서 올리고 있습니다. 이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죠... 그럼 DAUM의 메인에 왜 이런 .. 2008. 5. 7. 다음의 신규 서비스, "이 기사 누가 봤을까?"의 단상 다음(Daum)에서 "이 기사 누가 봤을까?"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오픈했다. 작년 7월부터 준비했다가 이번 3월 15일에 정식으로 오픈했다고 한다. 미디어 다음에 올라온 기사를 나 아닌 다른 누가 보았은지 분석해 주는 서비스이다. 즉,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해서 누가 기사를 읽었는지 도표와 그래프로 보여주는 것인데 새로운 것은 아니다. 기사 하단에 위와 같은 이미지와 간단한 설명이 있다. 이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 서비스를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어떤 도움이 될까? 나 말고 이 기사를 누가 읽었는지 아는 것이 과연 나에게 도움이 될까? 예를 들어, 유ㅇㅇ 장관 "나도 물러난 경험" 이라는 기사를 30대 이상 남성, 광주지역 사람이 주로 보았다는 사실이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 2008. 3.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