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3 우리나라의 'AI 전문가', 무늬만 전문가는 아닐까?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전문가', 무늬만 전문가는 아닐까?요즘 우리나라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전문가라는 타이틀을 얻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과연 이들이 진정한 의미의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할 수 있을까?AI 툴 사용자 vs. AI 전문가현재 많은 사람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다.챗GPT 같은 대화형 AI부터,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AI를 '활용'하는 것과 AI를 '이해'하는 것은 다르다.진정한 인공지능 전문가는 AI의 원리를 학문적으로 이해하고, 직접 모델을 설계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 2025. 3. 13. 내 차의 IQ는? 음성인식 명령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요즘 자동차에는 새로운 기술들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도 음성인식 명령를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운전 중에 누군가에게 전화를 하거나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를 검색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득, 음성인식 명령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궁금해져서 틈나는대로 이것저것 시도를 해봤습니다. 영상으로 함께 확인하시지요. ^^ 2024. 3. 11. 경기도의 인공지능형 지방세 상담봇의 수준 점검 지난해 알파고의 열풍으로 인해 인공지능이 다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몇몇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주종목이 인공지능(AI)인 것처럼 포장을 하기도 했죠. 인공지능 열풍으로 인해 한 10 ~ 15년전쯤에 잠시 유행(?)을 했던 대화형 에이전트가 다시 업계에서 재조명을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챗봇(ChatBot)이라는 기술이 회자되면서 말이죠. 여기저기 관련 사업들도 나오고 업계들도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관련 뉴스를 보다보니 경기도에서 12억원을 들여 인공지능 상담봇을 만들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길래 어느 정도인가 한번 들어가봤습니다. "지능형 지방세 상담봇"이네요. 세금 중에서도 지방세 영역에 한정해서 대화형으로 상담을 해 준다는 봇(Bot)입니다. 그럼 한번 상담을 해보겠습니다. 1. 간단하게 .. 2017. 2.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