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4 아토스, 마티즈 등 경차를 타지 않아야 하는 이유 기름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어서인지 경차에 대한 관심이 다시 일고 있다. 그러나, 이웃나라 일본처럼 경차가 활성화되고 있진 않다. 과거 경차가 반짝 유행을 했을 때 아토스, 마티스, 비스트 등 800cc 이하 경차가 몇 종 있었으나 지금은 딱 마티스 한 차종이다. 물론 내년에 1000cc도 경차에 포함되면 모닝도 포함되겠지만.... 왜 그럴까? 왜 이렇게 경차가 안 팔릴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모 신문의 기사처럼 정부는 돈 덜 번다. 기업은 돈 안된다. 소비자 폼 안난다. 가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정부는 환경도 중요하지만 유류세 등 세금이 덜 걷힐까봐 경차에 대한 혜택에 대해 민감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혜택이 그렇게 크지 않는다면 서민의 입장은 굳이 경차를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기업은 .. 2007. 11. 6. 기름값 인하 가능성... 국회에서 11월에 논의 착수 원유값이 1배럴 100달러를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곳곳에서 유류세 인하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 배럴과 리터의 관계는 이 포스트를 참고해 주세요. 아직까지 재경부는 어떠한 유류세 인하방안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만, 국회 재경위 의원들을 중심으로 유류세 인하와 관련된 세법 개정을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모아집니다. 오늘(30일)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에 따르면 유류세율을 10%인하한다는 내용을 담은 특별소비세법 및 교통세법 개정안이 조세소위 안건으로 상정되었으며, 11월 중순 전체회의에서 집중 논의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현재 정부에서는 휘발유과 경유 등의 세율 인하에 대해서 난색을 표하고 있지만, 여야 의원들이 재경위 소위 및 전체회의와 본회의 의결을 통해 관련 세법.. 2007. 10. 30. 휘발유값 리터당 공장도가격 593원, 세금은 883원. 세금 폭탄이다... 기름값 문제는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지만 매번 기름값에 붙는 세금을 볼 때마다 참으로 어이가 없다. 또한, 재경부 장관이 "세금을 내리면 휘발유 소비가 늘어난다"며 세금을 내리지 않은 것은 더욱 어처구니가 없다. 정부가 세금을 내리지 않은 진짜 이유는 손쉬운 세원 확보일 것이다. 많은 국민들이 다 알고 있는데 정부가 이를 모르는 척 하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기름관련 세금으로 23조원이 넘는 돈을 거둬들였다. 우리나라 전체 세금의 20%에 달하는 금액이다. 이 돈을 다 어디다가 썼는지 궁금하다. 이 휘발유에 붙는 세금을 한번 살펴보자. 휘발유가격을 1532원으로 잡을 때, 원가는 593원이고 세금은 883원, 그리고 유통마진이 56원이다. 세금이 원가보다 비싸다. 배보다 배꼽이 훨씬 큰 셈이다. 세금.. 2007. 10. 22. 유가폭탄.. 서민살림에 주름살이라고??? 좀 뜯어봅시다. 16일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중질류(WTI) 가격은 장중 배럴당 88.20달러로, 처음 88달러 선을 돌파한 데 이어 전날보다 1.48달러 뛴 87.61 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싱가포르에서 거래된 중동산 두바이유 현물 역시 하루만에 2.02달러 급등하며 배럴당 78.59달러로 거래됐다. 유가가 오르면 당연히 서민생활에 부담이 된다. 당장 자동차에 넣을 기름값이 오를테고 원유에서 추출하는 각종 연료의 가격이 뛰게 된다. 참고로 원유에서 추출할 수 있는 것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그림을 보면 된다. 원유값이 많이 오르는 것이 사실이지만 한두가지 딴지를 걸고 싶어진다. 1. 왜 모든 뉴스에서 미국 서부 텍사스 중질유 원유값, 영국 북해산 Brent를 언급할까? 물론 WTI, Br.. 2007. 10.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