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우병2

전여옥의 부메랑 - 광우병를 다시 생각나게 하다. 어제 전여옥 의원(이하, 전氏)이 올린 글 하나로 인터넷이 벌겋게 달궈졌습니다. 김민선 '광우병 발언' 소송 - 전여옥 "악의적 한마디 책임져야" 발언 논란 전여옥 "김민선 한마디, 화약고에 성냥불" 전여옥 "김민선, 광우병 발언 책임져" 전여옥, "연예인 정치적 발언 책임론 피력" 전氏는 고기수입업체인 에이미트가 제기한 소송의 기사를 보고 힘을 싣어주기 위해 그런 말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결과적으로는 가만히 있는 것만도 못한 것이 되었습니다. 먼저 전氏의 글을 보고 네티즌들이 들고 일어났습니다. 대개의 경우 황당하다, 어이없다, 김민선氏를 지키자 등의 반응이죠. 전氏의 글로 인해 그동안 잊혀져 가던 미국산 쇠고기 문제, 광우병에 대한 글들이 다시 인터넷에 등장하기 시작했고 그것들의 조회수, 추천수도 상당.. 2009. 8. 12.
광우병에 걸릴 확률은 100%가 맞다. 정부가 광우병에 대해서 '미국 사람들도 먹고, 미국을 여행하는 외국인들도 먹는 안전한 먹거리'라고 계속해서 홍보(?)을 하며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정부의 발표를 대강 요약하면 1997년 8월 이후에 태어난 소에 대해서는 광우병에 걸린 소가 발견된 사례가 없고 이미 발견된 광우병 3건에 대해서도 동물성 사료 금지조치 이전에 발생된 것이라고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알려진 사실처럼 미국은 전체 1억마리의 소 중에서 단 0.3%만 광우병 검사를 한다. (유럽은 전수 검사, 즉 모든 소에 대해서 검사를 한다.) 그러니, 0.3% 중에서 3마리가 발견된 것이 맞다. 그것을 1억마리 전체로 확대를 해 보면 적어도 100여마리 이상의 소가 광우병으로 판정될 것이다. 또한, 앞서 올린 포.. 2008. 5. 4.